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첫돌 아기 발달 장애 신호, 부모가 알아야 할 것

by 그뤠잇석만 2025. 3. 23.

아기 발달 장애 신호 관련 사진

첫돌을 맞이한 아기의 발달 속도는 개별적으로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신체, 언어, 감정, 사회성 발달이 꾸준히 진행됩니다. 그러나 일부 경우에는 정상 범위를 벗어난 발달 지연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부모는 아기의 성장 과정을 면밀히 관찰하고, 발달 장애의 신호를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본문에서는 첫돌 이후 아기의 발달 장애 가능성을 시사하는 주요 신호들을 신체 발달, 언어 발달, 감각 및 사회성 발달 측면에서 정리하고, 부모가 취할 수 있는 대응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첫돌 아기의 신체 발달 장애 신호 – 운동 능력 지연 여부 확인

첫돌 이후 아기는 점점 더 활발하게 움직이며 대근육과 소근육을 사용한 활동이 증가합니다. 하지만 신체 발달이 정상 범위를 벗어나거나 운동 기능이 현저히 느릴 경우, 발달 장애 가능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신체 발달 장애를 의심할 수 있는 주요 신호로는 15개월이 지나도 혼자 서거나 걷지 못하는 경우, 몸을 뻣뻣하게 긴장시키거나 반대로 근력이 너무 약해 몸을 제대로 지탱하지 못하는 경우, 한쪽 손이나 발만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또한, 손가락을 이용한 작은 물건 집기를 하지 못하거나, 기거나 걷는 과정에서 몸의 균형을 잡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경우도 신체 발달 지연의 신호일 수 있습니다. 특정한 동작을 반복적으로 보이거나 걸을 때 발을 질질 끌고 다니는 경우에도 전문가 상담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부모가 도와줄 수 있는 방법으로는 아이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안전한 환경을 조성하고, 걷기 연습을 도와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균형 감각과 근력을 키울 수 있도록 다양한 신체 놀이를 시도하는 것도 좋습니다. 아기의 움직임을 면밀히 관찰하고, 특정 방향으로만 움직이거나 몸의 긴장도가 비정상적으로 높은 경우 전문가 상담을 고려해야 합니다.

첫돌 아기의 언어 발달 장애 신호 – 의사소통 능력 문제 여부 확인

첫돌이 지나면서 아기들은 간단한 단어를 말하기 시작하고, 부모의 말을 이해하며 반응합니다. 하지만 언어 발달이 지연되는 경우,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언어 발달 장애를 의심할 수 있는 주요 신호로는 12개월이 지나도 부모의 목소리에 반응하지 않거나, 이름을 불러도 돌아보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15개월이 되어도 "엄마", "아빠" 같은 단순한 단어를 전혀 말하지 않거나, 옹알이나 간단한 소리를 내는 것이 현저히 적거나 거의 없는 경우도 언어 지연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부모가 하는 말을 이해하는 듯한 반응을 보이지 않거나, 손가락으로 원하는 것을 가리키는 동작을 하지 않는 경우에도 언어 발달 문제를 고려해야 합니다.

부모가 도와줄 수 있는 방법으로는 아이에게 자주 말을 걸어주고, 반복적인 언어 자극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림책을 읽어주며 사물의 이름을 알려주고, 아이가 반응하도록 유도하는 것도 효과적입니다. 노래나 동요를 활용해 언어 습득을 도와주며, 아이가 옹알이나 소리를 내면 적극적으로 반응해 주어 의사소통에 대한 흥미를 키워주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가 특정 소리에 반응하지 않거나 소리를 듣지 못하는 것처럼 보인다면 청력 검사를 고려하는 것도 필요합니다.

첫돌 아기의 감각 및 사회성 발달 장애 신호 – 자폐 스펙트럼 장애 여부 확인

첫돌 이후 아기의 감각 및 사회성 발달이 정상 범위에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 가능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감각 및 사회성 발달 장애를 의심할 수 있는 주요 신호로는 부모나 주변 사람과 눈을 맞추지 않거나, 지속적으로 회피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웃거나 감정을 표현하는 행동이 현저히 적거나, 부모에게 애착을 보이지 않고 혼자만의 행동을 지속적으로 하는 경우도 신호가 될 수 있습니다. 특정한 패턴이나 동작을 반복적으로 하거나, 소리에 지나치게 민감하게 반응하거나 반대로 너무 둔감하게 반응하는 경우도 감각 및 사회성 발달 장애를 의심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감각적 자극에 대해 강한 거부감을 보이거나 과도하게 탐닉하는 경우도 부모가 주의 깊게 살펴야 할 부분입니다.

부모가 도와줄 수 있는 방법으로는 아이와 눈을 맞추며 상호작용을 늘리고, 감정을 공유하는 놀이를 자주 시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부모와의 애착을 형성할 수 있도록 자주 안아주고, 감각 놀이를 통해 감각 조절 능력을 키워주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아이가 특정 행동을 반복적으로 보이면 강압적으로 제지하지 말고,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적절한 대처 방법을 찾는 것이 필요합니다. 또래 친구들과의 접촉 기회를 늘려 자연스러운 사회성을 익히도록 돕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