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첫돌 아기 발달, 또래보다 늦다면 문제일까?

by 그뤠잇석만 2025. 3. 18.

1세 아기 관련 사진

첫돌을 맞이한 아기의 발달 속도는 아이마다 차이가 큽니다. 어떤 아기는 걷기 시작하고, 어떤 아기는 아직 기어 다니는 단계일 수도 있습니다. 또 어떤 아기는 간단한 단어를 말하기 시작하는 반면, 다른 아기는 옹알이만 계속할 수도 있습니다. 부모로서 우리 아이가 정상적으로 성장하고 있는지 궁금할 때가 많고, 또래 아이들과 비교하며 걱정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아기들의 성장 속도는 저마다 다르며, 일정한 범위 안에서 발달한다면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첫돌 이후 개월별 신체, 언어, 사회성 발달 차이를 분석하고, 평균적인 성장 속도와 부모가 신경 써야 할 부분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첫돌 이후 신체 발달 차이

첫돌 이후 아기의 신체 발달은 개별적으로 차이가 크게 나타납니다. 보통 만 12개월경에는 가구를 잡고 서거나 한두 걸음을 시도하는 아기가 많지만, 아직 기어 다니는 아기도 적지 않습니다. 걷기 시작하는 시기는 아이마다 다르며, 13~14개월이 되면 혼자 걷는 아기가 점점 증가하지만 여전히 손을 잡고 걷는 경우도 많습니다. 15~16개월 무렵에는 걷기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며 계단을 오르려는 시도를 하는 아기도 생깁니다. 17~18개월 정도가 되면 일부 아기는 달리기를 시작하며, 점점 더 활동적인 모습을 보입니다.

이 시기의 아기들은 신체 균형을 잡는 능력이 점차 발달하고, 근력이 향상되면서 움직임이 자유로워집니다. 그러나 아이에 따라 다소 늦을 수도 있으며, 걷는 시기가 늦더라도 18개월까지는 정상 발달 범위에 포함됩니다. 만약 18개월이 지나도 전혀 걷지 않거나 서는 것조차 어려운 경우에는 근력 저하나 발달 지연 가능성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으며, 소아과 상담을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언어 발달 차이: 말이 늦는 아기 vs 빠른 아기

첫돌이 지나면서 아기들은 다양한 소리를 내며 언어 발달이 활발해집니다. 하지만 언어 발달 속도 역시 아기마다 다르기 때문에, 어떤 아기는 단어를 여러 개 말하는 반면, 어떤 아기는 여전히 옹알이를 지속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일반적으로 만 12개월경에는 ‘엄마’, ‘아빠’ 같은 간단한 단어를 사용하기 시작합니다. 13~14개월이 되면 두세 개의 단어를 조합해서 사용하기도 하고, 15~16개월이 되면 단어 수가 10개 이상으로 늘어나기도 합니다. 17~18개월 무렵에는 짧은 문장을 형성하는 아기도 나타나며, 간단한 요청을 이해하고 반응하는 능력도 발달합니다.

부모가 해야 할 일은 아기와 적극적으로 소통하고, 다양한 언어적 자극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일상적인 활동을 하면서 아기에게 말을 걸고, 책을 읽어 주거나 노래를 들려주는 것이 큰 도움이 됩니다. 만약 15개월 이후에도 단어를 전혀 말하지 않거나, 18개월이 지나도 옹알이만 지속된다면 전문가의 상담을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사회성 및 정서 발달: 낯가림부터 독립심까지

첫돌 이후 아기의 사회성 발달은 감정 표현과 주변 사람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이 시기의 아기들은 주변 사람들에게 반응하는 방식이 점차 변화하며, 정서적인 표현이 더욱 다양해집니다.

12개월 무렵에는 낯가림이 심해지고, 엄마와 아빠에게 의존하는 경향이 강해집니다. 익숙한 사람에게는 밝게 웃으며 반응하지만, 낯선 사람에게는 경계하거나 울음을 터뜨리는 경우도 많습니다. 13~14개월이 되면 간단한 ‘안녕’ 같은 행동을 따라 하며 사회성을 키워갑니다. 15~16개월이 되면 자기주장이 강해지고, 독립성이 발달하면서 원하는 것을 표현하려는 시도가 증가합니다. 17~18개월 무렵에는 또래 친구들에게 관심을 보이며, 함께 노는 것에 흥미를 가지기 시작합니다.

부모가 해야 할 일은 아이가 다양한 사람들과 어울릴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하고, 감정을 건강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입니다. 아이가 원하는 것이 있을 때 무조건 들어주는 것보다는, 적절한 규칙을 설정하고 대화를 통해 감정을 조절하는 법을 가르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지나치게 낯가림이 심하고 특정한 사람 외에는 극심한 거부 반응을 보이는 경우, 사회성 발달 문제일 가능성이 있으므로 전문가 상담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